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태화강 국가정원 봄꽃축제
- 태화강국가정원
- 태화강 수달
- 태화강의 해오라기떼
- 태화강국가정원의 억새숲
- 태화강국가정원의가을
- 태화강 잉어산란
- 태화강 해오라기.
- 흰날개 해오라기.
- 오블완
- 태화강의 봄풍경. 태화강 국가정원의 봄
- 태화강의 여름 풍경.
- 티스토리챌린지
- 태화강 국가정원 국화원
- 태화강 국가정원의 겨울풍경
- 태화강의 백로떼
- 태화강 국가정원의 백로떼
- 태화강의 여름풍경
- 태화강의 겨울 동물
- 태화강 해오라기
- 문주란 꽃
- 태화강국가정원 봄꽃축제
- 태화강국가정원의 가을.
- 태화강 억새숲 국가정원 코스모스꽃
- 태화강 누치떼
- 태화강
- 태화강 국가정원
- 왜가리떼
- 태화강 국가정원의 여름풍경
- 태화강의 여름조류.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퇴계종택 退溪宗宅 본문
퇴계종택 退溪宗宅
상세소개
- 규모
. 면적 : 2,119㎡ 정면 6칸, 측면 5칸의 ′ㅁ′ 형태인데 총 34칸
- 시대구분
. 조선시대
- 형태/방법/업적
원래의 가옥은 없어졌으며, 지금의 가옥은 퇴계의 13대 후손인 하정공(霞汀公) 이충호가 1926~1929년에 새로 지은 것이다.
- 문화재 지정여부
. 경상북도 기념물 제42호(1982.12.1)
- 관련 인물 및 유적
. 퇴계 이황(退溪 李滉)
- 참고 자료
. 안동문화원,1994,안동군지정문화재 편람,영남사,p.98
http://www.andong.go.kr/munhwa/private/geonmul_117.asp
[이미지출처: http://blog.daum.net/snowofsong/6032680]
이황은 사림이 훈구의 공신 세력으로부터 심한 수난을 겪었던 조선중기인 연산군 7(1501)년 12월 25일 안동 도산 온계동에서 태어났다. 공의 휘는 황(滉)이며 자는 경호(景浩)이다. 아호는 향리의 시내 이름을 따서 퇴계(退溪)라 하였으나 이외에도 도옹(陶翁), 계옹(溪翁) 등 여러 가지로 불리었다. 이황의 본관은 진보(眞寶) 곧 진성(眞城)이다. 이 진보 이씨는 고려말에 입문한 씨족이다. 진보 이씨의 시조는 석(碩)으로 밀직부사를 지냈으며 2세 자수(子脩)는 홍건적 토벌로 공을 세워 송안군으로 봉작을 받으신 분이다. 3세 현후(玄候)는 군기시부정을 지냈고, 뒤에 증 통훈대부 사복시정이 되었다. 증조 정(禎)은 선산도호부사로 또한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으로 추증을 받았다. 조 계양(繼陽)은 진사로 증 자헌대부 이조판서 겸 지의금부사가 되었다.
진보 이씨가 안동으로 이주한 것은 송안군 자수로부터이다. 그 뒤 이황이 태어난 도산의 온계리에 터전을 잡은 것은 조부 계양으로부터이며 부 식(埴)를 거쳐서 황에 이르렀다. 곧 이황은 도산십이경(陶山十二景)으로 이름난 안동의 도산 온계리에서 아버지 식과 춘천 박씨 사이에서 태어나 영남학파의 사종이 되었다. 아버지 식은 소과인 사마시에 합격한 정도의 글 읽는 집안이기는 하였으나 한미한 편이었다.
이황의 생애는 편의상 세 단계로 구분해 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기, 수학기 (1 - 33)
제 2 기, 출사기 (34 - 49)
제 3 기, 치사 강학기 (50 - 70)
수학기는 무려 33년간이다. 그러나 33년 동안 스승을 모시고 글을 배우고 익혔던 기간이라기보다 출사를 위한 준비 기간이다. 곧 33세에 진사시에 합격하기 이전으로 학문을 닦고 수기(修己)하던 시절을 말한다. 이황은 이 시절에 비록 부친은 없었으나 어머니의 엄하고도 따뜻한 사랑을 받으며 도산의 자연 속에서 영특한 자질을 길렀다. 이황은 생후 일곱달만에 아버지가 병으로 죽자, 홀어머니 슬하에서 엄한 교육을 받으면서 만고풍상을 다 겪었다. 퇴계의 어머니는 8남매의 많은 아이들을 데리고 일찍이 미망인이 되고서는 집안을 잘 유지하고, 아이들을 전부 결혼시킬 수 있을지의 여부를 깊이 걱정하고 더욱 더 농업과 양잠의 일에 힘썻다.
이황의 출사기는 34세부터 시작된다. 이황은 중종 23(1528)년 진사시를 거쳐 중종 29(1534)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승문원권지부정자에 임명되었으며 성균관 전적에 올랐다가 호조좌랑(당 36세)으로 전임되었다. 육품관이 되어서부터 대부인을 위해 현의 수령을 얻어 봉양을 편케 하려 하였으나 그렇게 하지 못해 평생에 한이 되었다. 중종 31(1537)년에 모친상을 당했다. 홍문관수찬,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을 거쳐 형조좌랑에 임명되었다. 사간원에 있을 때의 사소한 일 때문에 그의 동료들과 함께 파면되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형조정랑에 제수되었다. 그 후 홍문관교리, 사헌부지평, 홍문관수찬, 부교리, 사헌부지평, 의정부검상을 거쳐 시강원문학을 겸임하였다. 또 사인에 승임되었다가 사헌부장령에 개임되었다.
병으로 사임하였다가 종친부전참, 장령, 성균관사예를 거쳐 시강원필선을 겸하였다가 사성에 승임되었다. 이 때의 나이는 43세였다. 예빈시부정, 홍문관교리를 거쳐 시강원문학을 겸임하였고 사헌부장령으로 전임되었다. 또 병으로 사임했다가 성균관직강에 제수되었고 홍문관응교로 옮겼는데, 다시 휴가를 얻어 고향으로 내려갔다가 조정으로 돌아왔다.이 해(44세) 7월에 “갑진걸물절왜사소(甲辰乞勿絶倭使疏)” 라는 외교, 국방론의 탁월한 의견을 제출하였다. 이 상소는 왜사들이 친화을 바라는 뜻을 저버리지 말라는 내용으로서, 그 길이만도 2216언(言)이나 되는 장문일 뿐만 아니라, 그 간절하고 미래를 헤아리는 혜안이 진실로 사표를 삼을 만했다. 이 소(疏)의 주장은 하나같이 멀리 백년 앞을 내다보는 높은 시각이라 아니할 수 없다. 갑진년 11월에 중종 임금이 재위 39년 만에 승하하고 인종이 즉위하였다. 선생이 명나라에 부고와 청시(請諡: 시호를 청하는 일) 두 표문을 만들어 보냈는데 사신이 명에 도착하자 예부상서 등의 관원들이 환복(歡服)하여 말하기를, “표문이 좋은데다가 서법 또한 묘치가 있다.”라고 하였다. 돌아와 이 사실을 임금께 고하니 선생께 말 한 필을 하사하셨다. 또 45세에 군자감검정, 홍문관응교, 전한으로 옮겨졌다가 9월에 사옹원정으로 전임되었고 겸직은 전과 같았다. 이 해에 을사사화가 있었다. 인종이 승하하고 명종이 즉위하니 이기(李?) 등이 나라를 맡아 정권을 멋대로 행사하여 사류를 배척 모함하던 때라, 선생 역시 관작을 삭탈 당했다. 그러나 다시 서용하기를 청하니, 그것은 이기의 조카 원록(元祿)이 평소 선생의 학생을 존경하였기 때문에 각별히 권고한 덕분이었다. 서용되어 11월에 통훈대부가 되고 영접도감낭청에 임명되었다. 46세에 부인 권씨가 세상을 떠났다. 선생은 두 아들들에게 계모 권씨의 상을 친 어머니같이 하라고 당부하였다. 이 해 11월에 건지산(?芝山) 기슭 동암 곁에 양진암(養眞菴)을 지었다. 31세에 건지산에 와사(蝸舍)를 지은 지 14년 만에 조금 격식을 차린 서재를 갖게 된 것이다. 그리고 토계(兎溪)라고 불리던 집 앞 시내 이름을 퇴계라고 고쳐 부르고, 가끔 이를 호로 사용하였다. ‘퇴계 선생’이라 함은 이 때부터 쓰는 것이 정당하다. 48세에 단양군수로 임명되었고, 그 해 9월 풍기 군수로 전임되었다. 49세에 비로소 서원 운동을 전개하면서 백운동서원에 사액과 서책을 하사하도록 상소하여 뜻을 이룬다. 그리고 사직을 위한 상소를 세 번 올렸으나 해답을 얻지 못하고 이듬해 정월에 결연히 임소를 떠나버린다. 그로 인해 고신(告身) 2 등을 삭탈 당했다.
이황의 치사(致仕) 강학기는 50세부터 시작된다. 귀향을 결단하고 홀연히 떠나 왔으나, 그렇다고 완전히 초야에 묻힐 수 있는 몸이 아니었다. 이 시기에도 실직이든 산직이든 가릴 것이 없이, 끝까지 벼슬하는 몸일 수밖에 없었다. 이황은 이즈음 상계 서편에 한서암(寒栖庵)을 짓고, 당을 정습(靜習)이라 이름하고, 못을 파서 광영당(光影堂)이라 하여 5년여를 거처하다가 도산 남쪽 산수 좋고 그윽한 곳에 터를 마련하여, 정사년으로부터 신유년에 이르기까지, 5년 역사 끝에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지었다. 이로부터 학문을 연찬하고 후학을 기르는 데 전념하게 되었다. 노경에 접어든 선생은 인생과 학문 그리고 진리에의 구도 등에서 달관의 경지를 이루었다. 65세에 ‘도산십이곡발(陶山十二曲拔)’을 지었으며, 이 무렵 제자들에게 계몽(啓蒙)과 심경(心經)을 강의하였다. 66세에 동지중추부사의 소명이 있었으나 사면장을 올려도 허락되지 않아 상경하다가 병으로 지체하여 왕(명종26년)이 내의(內醫)를 보내 진료케 하였으며, 홍문관, 예문관 대제학을 제수하였으나 사퇴하자, 왕이 독서당 선비들에게 ‘초현부지탄(招賢不至嘆)’이란 제목으로 시를 짓게 하는 한편, 도산도(陶山圖)를 그리게 하고, 그 위에 선생의 ‘도산기(陶山記)’와 ‘도산잡영(陶山雜詠)’을 써서 병풍을 만들어 방에 비치하도록 하였다.
68세에 선생은 마지막 상경을 하였다. 모든 벼슬의 명을 사퇴하기를 수없이 반복하고, 그 해 8월에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와 “성학십도(聖學十圖)” 및 차자를 올렸으니 무진육조소는 선생의 정치사상의 요약이요, 성학십도는 철학사상의 금자탑이다. 선생은 평생토록 정치에 무관심한 것은 절대로 아니었다. 다만 시의에 맞는 정책들이 방해를 받았으며, 정치적 상황이 그를 정치에 무관심한 듯 보이게 했을 뿐이다. 69세 기사년 3월 3일 밤에 입궐하여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허락 받게 되었다. 이승에서 마지막 해인 70세에 선생은, 도산서당과 역동서원(易東書院)에서 강의하면서 마지막 정열을 바쳤다. 선생은 12월 8일 아침에 매화분에 물을 주라 하셨고, 이날 날씨는 맑았다. 유시(酉時)초에 갑자기 흰 구름이 지붕 위에 모여들고 눈이 한자쯤 내렸다. 잠시 뒤에 선생은 이부자리를 정돈하라 하고 부축하여 몸을 일으키라 하여, 앉은 채로 칠순의 평생을 마치시니 구름이 흩어지고 눈이 개였다.
[출처] 퇴계(退溪) 이황(李滉) - 김성규 객원기자 | 안동넷
오시는길 안내
교통편안내
<서울방면>
영동고속도로 → 만종JC → 중앙고속도로(남원주IC) → 영주 → 서안동IC
중부내륙고속도로 → 충주 → 점촌함창IC → 문경(3번국도) → 예천(34번국도) → 안동
영동고속도로 → 여주JC → 중부내륙고속도로(충주IC) → 문경새재IC→ 예천(34번국도) → 안동
<부산방면>
경부고속도로 → 영천IC → (35번국도)안동
대구부산고속도로-금호JC-중앙고속도로-안동
<대구방면>
중앙고속도로 → 남안동IC → 안동
(5번국도) → 칠곡 → 군위 → 의성 → 안동
■버스이용시
안동시외버스터미널 : 857-8298
고속버스노선안내 : 1588-6900
서울-안동:동서울터미널(06:00부터 20:30까지),반포고속터미널 호남선(06:10부터 19:30까지)
■기차이용시
기사노선안내 : 1588-7788
부산-안동: 안동, 대구 경유 안동행 8회
청량리역-안동역(새마을 2회, 무궁화호 5회, 통일호 1회)/ 서울역(무궁화로 1회)
부산역-안동역(무궁화호 2회)/ 동대구 및 대구역-안동역(무궁화호 4회)
■시내버스이용시
교보생명 앞(시외버스터미널 옆)에서 67번 버스이용(1일 3회)
- 경상북도산림과학박물관
- 경상북도산림과학박물관은 잊혀져가는 산림사료의 영구적 보존과 학술연구를 통하여 산림문화를 창달하고 산림문화 학습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자 건립되었다 이와 함께 도산서원, 한국국학진흥원 등 유교문화권과 연계한 관광명소로 개발하고 산림문화 휴식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21세기는 문화를 중심으로 자연과 환경, Green이 축을 이루는 문화부국의 시대로 이러한 생...
퇴계종택 주변관광지 > 경상북도산림과학박물관
- 도산서원 陶山書院
- 분 류 : 서원 지 정 : 사적 제170호 (1969. 5. 28) 시 대 : 조선시대 규 모 : 사적지 324,945㎡, 건물 15동 이 서원은 퇴계 이황(退溪 李滉)선생을 향사(享祀)하는 도산서원이다. 선생은 1561년(명종 16)에 도산서당 건립하고 학문연구와 인격을 도야하였는데, 선생이 타계하자 문인들의 발의에 의해 서당이 있던 자리에 서원을 건립키...
퇴계종택 주변관광지 > 도산서원
- 퇴계태실 退溪胎室
- 이 건물은 1454년(단종 2)에 퇴계선생의 조부인 계양공(繼陽公)이 건립하였다고 전하는 가옥이다. 퇴계가 태여 난 특이한 방이 있다고 해서 그렇게 부르지만 그의 할아버지 노송정 이계양이 지은 고택이다. - 규모 . 정면7칸, 측면6칸의 ㅁ 자형 정침과 독립된 건물인 노송정, 사당이 나란히 배치 - 시대구분 . 조선시대 - 유래 14대손인 가원(家源)에 의...
퇴계종택 주변관광지 > 퇴계태실
- 가송마을
- 참살이 가송마을은 전형적인 농촌마을로서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청정지역으로, 경북 팔경에 속하는 마을이기도 합니다. 누구나 한번쯤은 회색빛 도시공간을 벗어나 심신의 건강을 충전시키고, 쉬어가고 싶은 정이 넘치는 마을입니다.
퇴계종택 주변관광지 > 가송마을
-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http://www.koreastudy.or.kr)은 전통의 창조적 계승을 통해 미래의 정신가치를 모색하려는 목적아래 민간소장 국학자료의 체계적인 조사·수집, 연구·전시, 연수 등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된 종합 국학기관이다. 현재, 목판 10만장을 보관할 수 있는 장판각(2개동)과 유교문화박물관(1,300평), 전통문화 연수교육을 위한 국학문화...
퇴계종택 주변관광지 > 한국국학진흥원
- 이육사문학관
- 안동시가 2000년 2월 이육사기념사업회를 결성한 뒤, 이듬해 1월 기념관 추진위원회 구성을 거쳐, 2002년 10월 착공하여 2004년 7월 31일 개관하였다. 공사비는 국비 6억 원, 도비 3억 원, 시비 12억 9000만 원을 합해 총 21억 9000만 원이 들었다. 부지면적은 2,324평, 연건축면적은 196평이다. 주요 시설은 문학관 2층(176평...
퇴계종택 주변관광지 > 이육사문학관
- 예안향교
- 건물은 1420년 (세종 2)에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예안향교이다. 1541년(명종 2)에 처음 중수하였으며, 1601년 (선조 24)에 참의 조목이 대중건하였다. 1746년(영조 22) 현감 김광수, 이의겸 등이 개수하였고, 1848년 (헌종 14), 교리 이만현 등에 의해 수리되었다고 한다. 1982년에 고직사를 신축하였다. 도산서원에서 멀지 않은 곳에 ...
퇴계종택 주변관광지 > 예안향교
'퇴계선생의 가르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眞城李氏를 빛낸 사람들 (0) | 2012.08.04 |
---|---|
[스크랩] 퇴계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는 도산서원 (0) | 2012.07.27 |
[스크랩] 퇴계 이황의 생애[년대표] (0) | 2012.06.30 |
퇴계 이황의 수신십훈(修身十訓) (0) | 2012.06.30 |
퇴계 이황과 <도산십이곡> (0) | 2012.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