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태화강의 해오라기떼
- 태화강 억새숲 국가정원 코스모스꽃
- 태화강 국가정원의 여름풍경
- 문주란 꽃
- 태화강의 여름풍경
- 태화강국가정원
- 태화강
- 티스토리챌린지
- 태화강의 봄풍경. 태화강 국가정원의 봄
- 태화강 누치떼
- 태화강의 여름조류.
- 태화강국가정원의 억새숲
- 태화강의 여름 풍경.
- 태화강의 백로떼
- 흰날개 해오라기.
- 태화강국가정원의가을
- 태화강 국가정원 봄꽃축제
- 태화강국가정원 봄꽃축제
- 왜가리떼
- 태화강 국가정원 국화원
- 태화강 해오라기.
- 태화강국가정원의 가을.
- 태화강 수달
- 태화강 국가정원
- 태화강의 겨울 동물
- 태화강 국가정원의 겨울풍경
- 태화강 잉어산란
- 태화강 해오라기
- 태화강 국가정원의 백로떼
- 오블완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우주에서 지상으로 9분 3초만에 낙하… 바움가르트너, 사상 첫 음속 돌파 본문
우주에서 지상으로 9분 3초만에 낙하… 바움가르트너, 사상 첫 음속 돌파
[서울신문]"세상의 가장 높은 곳에 올라서 보니 우리가 얼마나 미약한 존재인지를 깨닫게 됐습니다."
오스트리아 출신의 극한 스포츠 선수 펠릭스 바움가르트너(43)가 마침내 초음속 사나이로 기록됐다.
바움가르트너는 14일(현지시간) 사상 처음 음속을 돌파하는 낙하 기록을 세운 직후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기록을 수립하고 과학 데이터를 새로 수집한다는 생각보다 오직 살아 돌아와야 한다는 생각만 했다."며
가장 높은 곳에서 떨어지며 느끼는 '죽음의 공포'가 주는 인간의 원초적 본능을 극복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도 털어놨다.
그는 미국 뉴멕시코주 로스웰 사막에서 고도 39㎞의 성층권 높이에 올라간 뒤 마하 1.24(시속 1342㎞)로 9분 3초 만에 모든 낙하를 끝냈다.
이날은 1947년 10월 14일 미 공군 조종사 척 예거가 인류 최초로 비행기를 타고 음속 장벽을 돌파한 지 65주년이 되는 날이기도 하다.
'겁없는 펠릭스'라고 불리는 바움가르트너는 이날 초고도에서도 지상과 유사한 기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특수제작된 보호복과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55층 높이의 헬륨기구에 연결된 캡슐을 타고 2시간 21분 만에 낙하 목표 지점에 도착했다.
손동작으로 인사를 한 뒤 캡슐에서 뛰어내린 그는 자유 낙하한 지 4분 20초가 지난 지점인 해발 1524m 상공에서 낙하산을 펼쳤다.
이어 사막 지대에 안전하게 착지하자 무릎을 꿇고 하늘을 향해 두 팔을 들어 올렸다.
바움가르트너의 모든 도전 과정은 유튜브를 통해 전 세계에 생중계됐다.
특수 공수부대원 출신으로 2500번 이상의 고공 낙하 경험을 한 자유낙하의 세계 1인자인 바움가르트너는 이번에 항공기를 타지 않은 상태에서
음속 돌파를 한 것 외에도 세계 최고 높이 자유 낙하라는 신기록을 달성했다.
그러나 그는 1960년 미 공군 조종사 조 키팅어가 당시 고도 31㎞에서 뛰어내려 4분 36초간 자유 낙하한 기록은 깨지 못했다.
앞서 바움가르트너는 9, 12일 로스웰에서 도전에 나선 바 있지만 당시 착륙 지점에 강풍이 부는 등 기상 문제로 도전을 연기한 바 있다.
조희선기자 hsncho@seoul.co.kr
'세상만사(국내외 토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방송 중 120만 달러(약 13억원)짜리 대형 중국 화병이 깨지는 사건 (0) | 2012.10.17 |
---|---|
키 140센티,몸무게134KG,살찌는병걸린 중국소년 (0) | 2012.10.16 |
로봇 다리로 71m 암벽 등반 (0) | 2012.10.14 |
[스크랩] 암브림섬의 마룸 화산 용암호 초근접 촬영 `화제`(사진,동영상) (0) | 2012.10.14 |
산악자전거 묘기(동영상) (0) | 201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