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흰날개 해오라기.
- 태화강 잉어산란
- 태화강 누치떼
- 태화강
- 태화강국가정원 봄꽃축제
- 태화강 해오라기.
- 태화강의 봄풍경. 태화강 국가정원의 봄
- 태화강의 겨울 동물
- 태화강 국가정원
- 태화강의 백로떼
- 오블완
- 태화강 해오라기
- 태화강 국가정원의 겨울풍경
- 태화강국가정원의가을
- 왜가리떼
- 티스토리챌린지
- 태화강 국가정원의 백로떼
- 문주란 꽃
- 태화강 억새숲 국가정원 코스모스꽃
- 태화강의 해오라기떼
- 태화강국가정원의 억새숲
- 태화강의 여름조류.
- 태화강국가정원의 가을.
- 태화강 국가정원 국화원
- 태화강의 여름풍경
- 태화강 수달
- 태화강국가정원
- 태화강의 여름 풍경.
- 태화강 국가정원의 여름풍경
- 태화강 국가정원 봄꽃축제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사진처럼 보이는 사실적인 초상화 20 본문
사진처럼 보이는 사실적인 초상화 20
Ronald Restituyo는 거의 사진처럼 보이는 사실적인 초상화를 만드는 것으로 유명한 재능 있는 예술가다.
그의 그림은 빛, 그림자, 표정과 같은 작은 세부 사항에 중점을 두고 각 사람의 얼굴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Ronald의 작품을 특별하게 만드는 것은 생생한 느낌이다. 그는 간단한 스케치를 가져와 실제처럼 보이는 얼굴로 바꾼다.
포토리얼리즘 (Photorealism)
Photorealism은 회화, 드로잉 및 기타 그래픽 매체를 포괄하는 예술 장르로, 예술가는 사진을 연구 한 다음 다른 매체에서 이미지를 가능한 한 사실적으로 재현하려고 시도한다. 이 용어는 다양한 매체의 예술 작품을 설명하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시작된 미국 화가의 특정 예술 운동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수퍼리얼리즘(super-realism) 또는 하이퍼리얼리즘(hyper-realism)
수퍼리얼리즘(super-realism) 또는 하이퍼리얼리즘(hyper-realism)은 '리얼리즘 이상의 리얼리즘'의 뜻으로 제2차대전 이후 미술의 한 경향을 나타낸다. 1960년대 후반, 미국을 중심으로 나타난 이 동향은 팝 아트와 인체를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필립 펄스타인(Philip Martin
Pearlstein, 1924.05.24 ~ 2022.12.17)의 뉴 리얼리즘의 영향이 엿보인다. 사진을 이용하여 인물이나 도시 경치를 그리되 주관을 배제하고
실물과 꼭 같은 인간상을 작성한다. 그 때문에 샤프 포커스 리얼리즘(sharp focus realism), 포토리얼리즘(photorealism), 포토 아트(photo art)라고도 칭한다.
대표작가로는 (Chuck Close, 1940 ∼ 2021), 로버트 벡틀(Robert Bechtle, 1932∼), 리차드 에스테스(Richard Estes, 1936∼), 존 솔트(John Salt, 1937∼), 로버트 코팅엄(Robert Cottingham, 1935∼), 리차드 맥린(Richard Mclean, 1934∼), 랄프 고잉스(Ralph Goings, 1928∼),
조형작가로는 듀안 핸슨(Duane Hanson, 1925∼) 등이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세상만사(국내외 토픽)'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pine 소가 헬리콥터로 운송되는 이유 (2) | 2024.12.06 |
---|---|
일본 열차가 1분도 늦지 않는 이유 및 방법 (2) | 2024.12.05 |
매년 새로운 아름다움으로 놀라움을 선사하는 핀란드의 얼음 호텔 (2) | 2024.12.04 |
21세기 가장 위대한 팝스타 1위 Beyoncé (1) | 2024.12.04 |
현재도 사용중인 이란의 1,000년된 풍차 (0)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