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태화강의 겨울 동물
- 태화강 국가정원 봄꽃축제
- 태화강국가정원의 억새숲
- 흰날개 해오라기.
- 태화강국가정원
- 문주란 꽃
- 태화강국가정원의가을
- 태화강국가정원 봄꽃축제
- 티스토리챌린지
- 태화강국가정원의 가을.
- 태화강 국가정원의 겨울풍경
- 태화강 국가정원의 백로떼
- 태화강
- 태화강 해오라기.
- 태화강의 여름조류.
- 태화강의 해오라기떼
- 태화강 국가정원
- 태화강의 여름 풍경.
- 태화강 억새숲 국가정원 코스모스꽃
- 태화강 국가정원 국화원
- 태화강의 백로떼
- 왜가리떼
- 태화강 잉어산란
- 태화강 수달
- 태화강의 여름풍경
- 태화강 국가정원의 여름풍경
- 오블완
- 태화강의 봄풍경. 태화강 국가정원의 봄
- 태화강 해오라기
- 태화강 누치떼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퇴계 이황(李滉, 1501~1570) 선생약사 본문
퇴계 이황(李滉, 1501~1570) 선생약사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뛰어난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퇴도(退陶)·도수(陶叟)이다.
좌찬성 이식(李埴)의 7남 1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생후 7개월에 아버지의 상(喪)을 당했으나, 현부인이었던 생모 박씨의 훈도 밑에서 총명한 자질을 키워 갔다.
12세에 작은아버지 이우(李堣)로부터 『논어(論語)』를 배웠고, 14세경부터 혼자 독서하기를 좋아해, 특히 도연명(陶淵明)의 시를
사랑하고 그 사람됨을 흠모하였다.
18세에 지은 「야당(野塘)」이라는 시는 그의 가장 대표적인 글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20세를 전후하여 『주역(周易)』 공부에 몰두한 탓에 건강을 해쳐서 그 뒤부터 평생을 병치레하였다 한다.
27세에 향시(鄕試)에서 진사시와 생원시 초시에 합격하고, 어머니의 소원에 따라 과거에 응시하기 위해 성균관에 들어가 다음해에 진사
회시에 급제하였다.
33세에 재차 성균관에 들어가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 1510~1560)와 교유하고 심경부주(心經附註)를 구하여 크게 심취하였다.
이해 귀향 도중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을 만나 성인군자에 관한 견문을 넓혔다.
34세에 문과에 급제하고 승문원 부정자(副正字)가 되면서 관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37세에 어머니 상을 당하자 향리에서 3년 간 복상했고, 39세에 홍문관수찬이 되었다가 곧 사가독서(賜暇讀書)를 받았다.
중종 말년 무렵부터 관계를 떠나 산림에 은퇴할 결의를 굳히고, 43세이던 10월에 성균관사성으로 승진하자 성묘를 핑계 삼아 사가를
청해 고향으로 되돌아갔다.
을사사화 후 병약함을 구실로 모든 관직을 사퇴하고, 46세가 되던 해 고향인 낙동강 상류 토계(兎溪)의 동암(東巖)에 양진암(養眞庵)을
짓고, 자연을 벗 삼아 독서에 전념하는 구도 생활에 들어갔다. 이때에 토계를 퇴계(退溪)라 개칭하고, 자신의 아호로 삼았다.
그 뒤에도 자주 임관의 명을 받았다. 끝내 퇴거(退居)할 수 없는 형편이 아님을 알고 부패하고 문란한 중앙의 관계에서 떠나고 싶어서
외직을 지망, 48세에 충청도 단양군수가 되었다.
그러나 곧 형이 충청감사가 되자, 퇴계는 이를 피해 전임을 청해 경상도 풍기군수로 전임하였다.
풍기군수 재임 중 주자가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을 부흥한 선례를 좇아서, 전임 군수 주세붕(周世鵬)이 고려 말기 주자학의 선구자
안향(安珦)이 공부하던 땅에 창설한 백운동서원에 편액(扁額)·서적(書籍)·학전(學田)을 하사할 것을 감사를 통해 조정에 청원, 실현을
보게 되었다. 이것이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賜額書院)인 소수서원(紹修書院)이다.
1년 후 퇴임하고, 어지러운 정계를 피해 퇴계의 서쪽에 한서암(寒棲庵)을 지어 다시금 구도 생활에 침잠하다가 52세에 성균관대사성의
명을 받아 취임하였다. 56세에 홍문관부제학, 58세에 공조참판에 임명되었으나 여러 차례 고사하였다.
43세 이후 이때까지 관직을 사퇴하였거나 임관에 응하지 않은 일이 20여 회에 이르렀다.
60세에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고 아호를 ‘도옹(陶翁)’이라 정했다.
이로부터 7년 간 서당에 기거하면서 독서·수양·저술에 전념하는 한편, 많은 제자들을 훈도하였다.
명종은 예(禮)를 두터이 해 자주 그에게 출사(出仕)를 종용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이에 명종은 근신들과 함께 「초현부지탄(招賢不至嘆:어진 이를 초빙했으나 오지 않음을 탄식하다)」이라는 제목의 시를 짓고, 몰래
화공을 도산에 보내 그 풍경을 그리게 하고, 송인(宋寅)으로 하여금 「도산기(陶山記)」 및 「도산잡영(陶山雜詠)」을 써넣게 해 병풍을 만들어서 좌우에 두었다고 한다.
그 뒤 친정(親政)하게 되자, 퇴계를 자헌대부(資憲大夫)·공조판서·대제학이라는 현직(顯職)에 임명, 자주 초빙했으나, 그는 그때마다 고사하고 고향을 떠나지 않았다.
그러나 67세 때 명나라 신제(新帝)의 사절이 오게 되자, 조정에서 퇴계의 내경(來京)을 간절히 바라 어쩔 수 없이 한양으로 갔다.
명종이 돌연 죽고 선조가 즉위해 그를 부왕의 행장수찬청당상경(行狀修撰廳堂上卿) 및 예조판서에 임명하였다.
하지만 신병 때문에 부득이 귀향하고 말았다.
그러나 퇴계의 성망(聲望)은 조야에 높아, 선조는 그를 숭정대부(崇政大夫) 의정부우찬성에 임명, 간절히 초빙하였다.
그는 사퇴했지만 여러 차례의 돈독한 소명을 물리치기 어려워 마침내 68세의 노령에 대제학·지경연(知經筵)의 중임을 맡고, 선조에게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를 올렸다.
선조는 이 소를 천고의 격언, 당금의 급무로서 한 순간도 잊지 않을 것을 맹약했다 한다.
그 뒤 이황은 선조에게 정이(程蓬)의 「사잠(四箴)」, 『논어집주』, 『주역』, 장재(張載)의 「서명(西銘)」 등의 깊은 의미를 진강하였다.
노환 때문에 여러 차례 사직을 청원하면서 왕에 대한 마지막 봉사로서 필생의 심혈을 기울여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저술, 어린 국왕
선조에게 바쳤다.
이듬해 69세에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번번이 환고향(還故鄕)을 간청해 마침내 허락을 받았다.
고향에 돌아온 후 학문 탐구에 전심하였으나, 70세가 되던 다음해 11월 병환이 악화되었다.
돌아가시던 날 평소에 사랑하던 매화분에 물을 주게 하고, 침상을 정돈시킨 후, 일으켜 달라고 하여 단정히 앉은 자세로 역책(易愁: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하였다.
선조는 3일간 정사를 폐하여 애도하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 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영사를 추증하였다.
장사는 영의정의 예에 의하여 집행되었으나, 산소에는 유계(遺誡)대로 소자연석에 ‘퇴도만은진성이공지묘(退陶晩隱眞城李公之墓)’라
새긴 묘비만 세워졌다.
죽은 지 4년 만에 고향 사람들이 도산서당 뒤에 서원을 짓기 시작해 이듬해 낙성, 도산서원의 사액을 받았다.
그 이듬해 2월에 위패를 모셨고, 11월에는 문순(文純)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퇴계선생의 가르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성이씨 (眞城李氏)유래-대전 孝월드 뿌리공원 (0) | 2022.05.17 |
---|---|
퇴계선생 서세 450주년 추모행사 (0) | 2020.11.25 |
문순공 퇴계 이황 연보 (0) | 2020.11.01 |
퇴계의 제자 (0) | 2019.06.19 |
퇴계의 사람 공부 (0) | 2019.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