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태화강 누치떼
- 오블완
- 태화강 잉어산란
- 태화강 국가정원의 백로떼
- 태화강 국가정원 국화원
- 흰날개 해오라기.
- 티스토리챌린지
- 태화강 국가정원의 겨울풍경
- 태화강의 겨울 동물
- 태화강국가정원의 가을.
- 태화강 수달
- 태화강 억새숲 국가정원 코스모스꽃
- 태화강국가정원의 억새숲
- 태화강 국가정원의 여름풍경
- 태화강의 백로떼
- 태화강 국가정원 봄꽃축제
- 태화강 국가정원
- 태화강의 여름풍경
- 태화강국가정원의가을
- 태화강의 여름 풍경.
- 문주란 꽃
- 태화강
- 태화강의 봄풍경. 태화강 국가정원의 봄
- 태화강국가정원
- 태화강의 여름조류.
- 태화강의 해오라기떼
- 태화강 해오라기.
- 태화강국가정원 봄꽃축제
- 왜가리떼
- 태화강 해오라기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올해의 사자성어 '군주민수' 본문
교수신문 올해의 사자성어 '군주민수' 선정
'백성이 화가 나면 임금을 뒤집을 수 있다' 의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향한 촛불민심 반영" 분석
교수 611명 설문조사..32.4%가 '군주민수' 선택
역천자망·노적성해..2·3위도 촛불민심 표현
|
교수신문은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전국의 교수 6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32.4%(198명)가 ‘군주민수’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했다고 24일 밝혔다.
‘군주민수’는 순자(苟子) 왕제(王制)편에 나오는 사자성어다. 원문은 ‘君者舟也 庶人者水也(군자주야 서인자수야).
水則載舟 水則覆舟(수즉재주 수즉복주). 君以此思危 則危將焉而不至矣.(군이차사위 즉위장언불지의)’로 풀이하면
“백성은 물, 임금은 배이니, 강물의 힘으로 배를 뜨게 하지만 강물이 화가 나면 배를 뒤집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군주민수’를 추천한 교수는 육영수 중앙대 역사학 교수다. 설문에 응답한 교수 611명 가운데 32.4%(198명)가 이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꼽았다. 대통령 탄핵안 가결까지 이끌어낸 촛불민심이 반영된 결과란 분석이 나온다.
육 교수는 “역사를 변화시키고 전진시키는 첫 발은 태풍에도 흔들리지 않는 촛불을 나눠 밝히려는 권리선언으로부터
시작된다”며 “민주공화국의 세상에는 더 이상 무조건 존경받아야 하는 군주도 없고 ‘그 자리에 그냥 가만히 있는
’ 착하고도 슬픈 백성도 없다”며 추천 이유를 설명했다.
교수들은 ‘군주민수’에 이어 ‘역천자망(逆天者亡)’을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택(28.8%, 176명)했다.
이승환 고려대 철학과 교수가 추천한 ‘역천자망’은 맹자(孟子)에 나오는 말로 ‘천리를 거스르는 자는 패망하기 마련’이란 뜻이다.
이 교수는 “최순실의 국정농단과 박근혜 대통령의 헌정농단은 입헌민주주의의 당연하고도 자연스러운 원리를
거스른 일”이라며 추천 이유를 밝혔다.
이어 윤평중 한신대 교수(철학)가 추천한 ‘노적성해’(露積成海·이슬이 모여 바다를 이룬다)가 18.5%(113명)의
지지를 얻어 3위를 차지했다. 윤 교수는 “작은 이슬방울들이 모여 창대한 바다를 이루듯, 과거의 낡은 시대를 폐기하고
성숙한 공화정인 2017년으로 나아가는 한국 역사의 큰 길을 촛불 바다가 장엄하게 밝혔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올해의 사자성어 최종 후보에는 빙공영사(憑公營私(빙공영사·공적인 일을 핑계로 사익을 꾀함),
人衆勝天(인중승천·사람이 많이 모여 힘이 강하면 하늘도 이긴다) 등도 올랐다.
‘빙공영사’는 최순실 국정농단에 대한 분노를 담았다.
‘인중승천’도 시민들이 촛불집회를 통해 대통령 탄핵을 이끌어낸 점을 표현했다는 분석이다.
교수신문은 “군주민수, 역천자망, 노적성해, 빙공영사, 인중승천은 올해 후반기에 불거진 가파른 정국 변화를
꼭 찌른 사자성어들”이라며 “민주주의의 원칙과 재권주민의 의미를 밝혔고, 공적인 일을 빙자해 사익을 챙긴
이들에 대한 비판”이라고 평가했다.
교수신문은 2001년부터 매년 교수 대상 설문조사로 한 해를 상징하는 사자성어를 선정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혼용무도(昏庸無道ㆍ세상이 어지럽고 도리가 제대로 행해지지 않음)가 2016년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됐다.
신하영 (shy1101@edaily.co.kr)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 특이한 다리 모음 (0) | 2016.12.24 |
---|---|
각 나라별 여권 색깔에 숨겨진 진짜 의미 (0) | 2016.12.24 |
세계최고봉 톱10 (0) | 2016.12.22 |
풀리지 않은 세계의 미스테리 10 (0) | 2016.12.22 |
세계에서 가장 웅장한 자연 10곳 (0) | 2016.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