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바람따라 구름따라

ㅁ가족의 생활습관이 암 발생과 연관 있다 본문

건강관리

ㅁ가족의 생활습관이 암 발생과 연관 있다

꿈꾸는 구름 나그네 2012. 9. 27. 09:40

 

암 걸린 생활습관… 가족도 함께 걸린다

세브란스병원 연세암센터 분석 가족 중 2명 이상 발생 10년새 2배↑가족력 있는 암환자는 4배로 늘어

대장암·유방암 등이 가장 많이 발생

 

 

[세계일보]

지난 10년 동안 가족 중 2명 이상 암환자 비율이 2배로 늘었다. 공통된 생활습관 등이 증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세브란스병원 연세암센터에 따르면 2001년 등록된 암환자 5476명과 2011년 10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1개월 동안 등록된 암환자 1만 1734명을 분석한 결과, 암 가족력이 있는 환자는 2001년 781명으로 전체 환자 중 14.3%였으나 올해는 3149명(26.8%)으로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체 암환자 수는 2배 늘어난 데 비해 가족력이 있는 암환자는 4배가 늘어 더 큰 증가폭을 보였다.



general_image

 

 

가족 중 1명이 암이 있을 때 가족 내 다른 암환자가 발생하는 경우는 2001년 유방암〉위암〉간암〉난소암자궁경부암의 순이었으나, 2012년에는 갑상선암〉위암〉대장암〉비뇨기암 순으로 바뀌었다.

성별로는 여성의 경우 2001년 유방암〉위암〉난소암 및 자궁경부암〉대장암에서 2012년 갑상선암〉유방암〉위암〉대장암 순으로, 같은 기간 남성은 간암〉위암〉대장암〉폐암에서 위암〉비뇨기암〉대장암〉간암의 순으로 발생 빈도가 변화했다.

특히 서구화된 식생활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대장암은 부부 중 1명이 보유하고 있을 때 다른 1명에서도 발생할 비율은 2001년 8.8%에서 2012년 14.2%로 다른 암에 비해 눈에 띄게 높은 증가 추이를 보였다.

정현철 연세암센터 원장은 "가족의 생활습관이 암 발생과 연관 있다고 여겨지는 대장암·유방암·비뇨기암이 가족 내에서 늘어났다"며 "가족끼리는 유전적 요인 외에도 생활습관이 비슷하기 때문에 가족 중 암환자가 있다면 특별히 더 조심해야 한다"고 당부한다.



 

general_image

 

 

올해 등록된 암환자 분석 결과를 보면 남성은 간암, 여성은 유방암과 대장암이 가족력이 없을 때보다 있을 때 더 자주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가족 중 간암이 있으면 2001년과 2012년 모두 다른 가족에게도 간암이 가장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장암·폐암·갑상선암이 있는 때에는 2001년과 2012년 모두 가족에서 위암 발생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대장암·폐암·갑상선암 등의 발생빈도를 보였다. 유방암은 2001년 가족에서 위암〉간암〉유방암의 순으로 발생 빈도가 높았으나 2012년에는 위암〉유방암〉간암의 순으로 집계돼 최근 들어 유방암 발생 빈도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정 원장은 "위암은 기본적으로 발생빈도가 높고 최근 위내시경 검사가 증가해 조기 발견율이 높아 위암 환자가 많다"면서 "위암을 제외하면 간암·대장암·폐암·갑상선암·유방암에서 같은 암 발생 빈도가 높은데, 가족 중 이 같은 암이 있다면 생활 습관을 바꾸는 게 시급하다"고 조언한다.

연세암센터가 해마다 조사하고 있는 암환자의 10년 생존율 결과를 보면, 2012년의 10년 생존율(2001년 암 진단)은 46.6%로 절반 가까이가 10년 이상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0기 발견 시 10년 생존율은 95.4%, 1기는 81.0%, 2기 59.8%, 3기 34.7%, 4기 6.5%로 조기발견이 치료에 가장 중요한 요소임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주요 암의 10년 생존율은 위암 50.3%, 대장암 46.0%, 유방암 75.3%이다.

연세암센터는 암환자 장기추적 자료, 가족력 자료 등을 활용해 암환자 건강관리지침과 연령별 건강검진 가이드라인을 만들 계획이다.

김신성 기자 sskim65@segy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