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태화강의 백로떼
- 태화강의 여름조류.
- 태화강 잉어산란
- 태화강국가정원 봄꽃축제
- 태화강 억새숲 국가정원 코스모스꽃
- 태화강국가정원의 가을.
- 태화강의 봄풍경. 태화강 국가정원의 봄
- 태화강 국가정원 국화원
- 태화강
- 태화강 수달
- 태화강국가정원
- 티스토리챌린지
- 태화강의 해오라기떼
- 태화강국가정원의가을
- 문주란 꽃
- 태화강 국가정원의 여름풍경
- 태화강 해오라기
- 태화강의 여름 풍경.
- 태화강 국가정원
- 태화강 국가정원의 백로떼
- 흰날개 해오라기.
- 오블완
- 태화강의 겨울 동물
- 태화강국가정원의 억새숲
- 왜가리떼
- 태화강 국가정원 봄꽃축제
- 태화강 누치떼
- 태화강의 여름풍경
- 태화강 국가정원의 겨울풍경
- 태화강 해오라기.
- Today
- Total
바람따라 구름따라
대한민국 테마여행 선비문화코스-전통 문화유산 답사 본문
선비문화 코스=안동·영주·문경·대구, 류성룡 사당 모신 병산서원, 조선시대 서원 양식의 백미,
안동 하회마을·영주 선비촌, 선비문화 체험 장소로 제격, 문경새재·부석사 등도 유명,
대구 근대골목은 역사 여행, 찜닭·풍기인삼 등 별미도 많아
|
|
◇우리의 선비문화를 만나다=선비문화 코스에서 가장 대표적인 곳은 경북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에 있는 병산서원이다.
병산서원은 서애 류성룡과 그의 아들 류진을 모신 사당이다. 여행지로서 병산서원의 가치는 무궁무진하다.
유학의 보루인 서원의 전형이라는 것에서부터 산수를 품고 있는 최적의 위치까지 어느 하나 흠잡을 데가 없다.
임진왜란에 휘말린 나라를 구한 류성룡을 기억하게 하는 곳이기도 하다.
병산서원에서도 가장 좋은 스폿은 서원의 앞쪽에 위치한 만대루다.
정면 7칸, 측면 2칸의 만대루에서는 서원 앞에 펼쳐진 낙동강과 너른 백사장, 병풍과 같은 산들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병산서원의 주요 건물에는 만대루와 함께 류성룡과 류진의 위패를 모신 사당인 존덕사, 서원의 중심으로 학생들이
강의를 듣던 입교당과 책을 인쇄하던 장판각이 있고 제사를 준비하는 진사청과 학생들의 기숙사로 쓰였던 동재·서재 등이 있다.
건물들은 엄격하면서도 권위적이지 않고 정갈하면서도 군더더기가 없는 조선시대 서원양식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
소수서원은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조선 시대 최초의 서원이다.
군수였던 주세붕이 고려의 안향을 모시기 위해 1543년 백운동서원을 설립한 것이 시초고 이후에 퇴계가 이름을 지금처럼 바꾸었다.
|
최근에 뜨고 있는 선비문화 체험시설은 영주의 선비촌이다. 소수서원과 바로 붙어 있어 패키지로 즐길 수 있다.
선비촌은 복사품이지만 예전부터 이곳에 있어 온 마을처럼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고택들을 대부분 영주 곳곳에 있는 전통 깊은 고가들을 모델로 했다. 선비촌 안에서는 시기에 따라 다양한 행사가 펼쳐진다.
붓글씨나 탁본·다례제 등 선비문화를 체험하는가 하면 투호·제기차기·널뛰기·연날리기 등 민속놀이도 연중 가능하다.
보다 심층적인 체험을 위해서는 영주의 한국선비문화수련원과 안동의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등을 찾으면 된다.
여기에서는 1박2일 이상 합숙을 하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다.
|
이러한 이유는 문경새재가 부산과 서울을 연결하는 선상에 있기 때문이다.
전통시대 도로나 철길이 없던 시절 경상도의 물자와 인력은 문경에서 새재를 넘어 충주로 온 후 한강을 따라 서울로 모였다.
|
◇근대 유산들=대구 근대골목 걷기는 살아 있는 역사를 만나는 체험여행이다.
대구는 한국전쟁 당시 다른 지역에 비해 피해가 크지 않았다. 덕분에 과거 생활상이 비교적 잘 유지돼 있다.
근대골목은 보통 동산동에 자리한 청라언덕에서 시작된다. 이 익숙한 이름은 가곡 ‘동무생각’에 나온다.
‘봄의 교향악이 울려 퍼지는 청라언덕 위에 백합 필 적에 나는 희나리꽃 향내 맡으며 너를 위해 노래 부른다’라는 가사다.
대구에 기독교가 전파됐을 때 선교활동을 한 미국 선교사들의 가옥으로 대구 유형문화재인 스윗즈주택과 챔니스주택·
블레어주택 등이 눈에 띈다. 청라언덕을 시작으로 3·1만세운동길을 거쳐 전통문화체험관, 계산성당, 이상화·서상돈 고택,
뽕나무골목, 약전골목 등으로 이른다.
|
|
또 대구의 막창·매운 갈비, 영주의 풍기인삼·영주한우, 문경의 메기매운탕·산채정식 등도 놓치면 아까운 음식들이다.
/최수문기자 chsm@sedaily.com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여행자료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관광공사 12월 가볼만한 곳 4곳 선정 (0) | 2016.12.22 |
---|---|
CNN이 선정한 한국 가볼만한곳 50경 (0) | 2016.12.18 |
국립공원 직원들이 추천하는 숨은 탐방 명소15 (0) | 2016.12.13 |
우리나라 비경(秘境) (0) | 2016.12.11 |
하늘에서 본 한반도 - 마라도에서금강산까지 (0) | 2016.12.07 |